한국은행이 지속되는 내수침체와 미국 대선 이후 커진 대외 불확실성을 반영해,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9%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한은 전망치는 잠재 경제성장률 2%를 밑도는 수치로 저성장 국면에 돌입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한은은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한국에 관세 폭탄을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0.2%포인트 더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금리 또 0.25%p↓…3개월내 추가인하 가능
경기가 침체하고 성장률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 어제 기준금리를 연 3.25%에서 연 3.00%로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입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성장의 하방 리스크를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결정하였습니다.”
한은은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면서 3개월 내 추가 인하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가구소득 늘었지만 소득양극화는 심화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25만 원으로 지난해 이맘때보다 4.4% 늘고, 물가상승을 반영한 실질소득도 2.3%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소득 최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이 898만 1천 원으로 8% 늘 때, 하위 20%는 96만 2천 원을 벌어 6.1% 증가하는 데 그쳐 소득격차는 더 벌어진 걸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