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이션 기대 지수가 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연준 내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목소리는 여전히 높다. 연준이 매파적으로 움직이게 될 경우, 물가와 성장을 모두 챙겨야 하는 한국은행 역시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1일(현지시간) 연준은 올해 1분기 기준 연준의 일반 인플레이션 기대(CIE·Common Inflation Expectations) 지수가 2.22%로, 지난해 4분기의 2.31%에서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3분기 연속 하락한 것이자 2021년 2분기의 2.1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CIE는 연준이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을 확인하기 위해 분기마다 발표하는 지수로, 소비자· 투자자·전문가 모두의 태도를 측정하는 20개 이상 지표로 구성된다.
연준 제롬 파월 의장은 앞서 CIE의 급등세를 지적하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기준금리 인상으로 통제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2022년 2분기 CIE는 2.39%로, 1999년 관련 지표 집계 이후 사상 최고 수준이었다. ‘인플레이션 파이터’인 연준 입장에서 CIE 하락은 환영할 일이다.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낮아졌음에도 다음 달 2~3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가능성은 여전히 높게 점쳐지고 있다. 최근 금융권에서 불거진 신용 불안에도 경제가 고금리를 버틸 힘이 남았다고 보고, 최우선 목표가 물가 잡기에 단단하게 고정돼 있기 때문이다.